파써블 미션
흑염소 한마리 가격 본문
흑염소 가격이 최근 큰 폭으로 상승하며 한우를 웃도는 수준에 이르렀습니다. 개 식용 금지법 시행과 건강식품 수요 증가로 흑염소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2024년 현재 흑염소 가격은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흑염소 시장 현황
국내 흑염소 시장은 2018년 595억원에서 2021년 1,775억원으로 3배 가량 성장했습니다. 사육 두수도 2015년 28만 마리에서 2021년 44만 마리로 증가했으며, 사육농가 수는 2021년 기준 1만982곳으로 한우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수준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현재 흑염소 가격 동향
2025년 1월 기준 흑염소의 생체 가격은 kg당 평균 2만500원(거세 기준)이며, 도축 후 지육 가격은 kg당 3만4000원대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암염소의 경우 kg당 2만1000원, 비거세 수컷은 1만5000원 수준으로 거래되고 있습니다.


가격 상승의 주요 원인
개 식용 금지법 시행으로 인한 대체 보양식 수요 증가가 가격 상승의 주된 요인입니다. 특히 2030 세대의 건강식품 관심도 증가와 함께 수요가 급증했으며, 개사육농가의 업종 전환 대상으로 흑염소 사육이 각광받고 있습니다.
향후 시장 전망
전문가들은 2025년을 기점으로 흑염소 가격이 하락국면에 접어들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최근 호주산 염소고기 수입이 증가하면서 국내 시장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이며, 수입 가격은 국내산의 절반 수준인 kg당 8,442원에 형성되어 있습니다.
흑염소 산업은 높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지만, 안정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체계적인 사육 관리와 품질 향상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정부는 2030년까지 한국형 염소인 '우리흑염소' 개발을 추진하며 산업 기반 강화에 나서고 있습니다.

